코드스테이츠 6

TIL : 타입스크립트(TypeScript)_feat. 노마드코더, 인프런

타 입 스 크 립 트 등 장! 0. INTRO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게 된 계기는 바로 4주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 백엔드에서 타입스크립트를 새로운 스택으로 추가해서 사용하기로 했다. 팀원과는 각자 개인적으로 공부할 시간이 주어졌다. 그래서 나는 노마드코더를 프로젝트 시작전에 들었고, 인프런강좌를 프로젝트 끝나고 수강했다. 1. 첫 만남 타입스크립트를 처음 쓸 때는 조금 불편 했다. 하나하나 타입을 지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let isGood: boolean = true; let money: number = 10,000; let city: string = 'New York'; let numList1: number[] = [1, 2, 3]; let numList2: Array = [4, 5, ..

리코딩 : TIL 2021.02.14

리코딩 : 4주 프로젝트 회고록! Fin (feat. 코드스테이츠)

💡프로젝트 돌아보면서 생각보다 4주라는 시간이 금방지나 갔다. 처음에는 시간이 정말 많고 여유롭게 진행 할것 같아지만 생각보다 SR부터 치열했던 것 같다. 그렇다고 해서 SR이 힘들었지만 싫은 것은 아니였다. 이유는 많은 아이디어가 오가고 생각들이 정리되고, 기초를 잡은 일은 4주라는 시간에 뼈대🏛를 잡아주기 때문이다. 끝나고 나서는 필요한 스택들을 정리 했다. 생각보다 많이 바뀌었다. 다양한 시도도 좋지만, 완성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만큼 변경되고 고민이 되었던 시간이었고, 백엔드는 TypeScript와 TypeORM이 선정되었다.(지금 생각 해보면 조금 더 챌린지 했어도 괜찮았겠다는 생각이 든다! ) 배포때는 역시 애먹었다... 확실히 이번 배포를 계기로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리코딩 : 4주 프로젝트 회고록! 2nd

프로젝트 2주차에 접어들...다! 1. 스택 스택 선정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오갔다. 이번 기회에 "새로운 스택을 사용하는 것" VS "배웠던 내용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것"! 백엔드의 선택은 "새로운 스택을 사용하자" 였다. 스택을 선정하기 위해 많은 아이템들이 나왔다. 최근에 가장 관심이 있었던 "NestJS"🐈, "Typescript"🟦 를 해보고 싶었다. 4주라는 시간이 충분해 보였기 때문에 많은 욕심을 내고 싶었지만, 현실적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타협이 필요했다. 최종적으로 백엔드에서는 "Typescript"와 "TypeORM"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앞으로 다가올 운명은 모른채....) 2. Typescript 새롭게 배우는 언어! 설렘을 가득안고 공식문서와 강의들을 찾아봤다. ..

리코딩 : 4주 프로젝트 회고록! 1st

분명히 2주 프로젝트가 끝난지 얼마 안됬는데......🤦🏻 코드스테이츠와 함께하는 마지막 프로젝트 4주가 다가왔다. 2주는 정말 정신없이 보낸것 같다. 생각지도 못한 오류들, 처음 보는 오류들 충분히 사람을 쉽게 당황시켰다... 그리고 배포때는 정말 ㅎ... 🙏🏻 짧은 휴식을 끝내고, 4주 프로젝트가 시작이 되었다. 좋은 분들과 이번에도 함께하게 되어서 더욱 기대가 됩니다! 1. SR 2주 프로젝트에도 느꼈지만, SR(SoftwAre Requirement) 은 정말 중요하다!🔥 물론 한번에 모든 것을 확정할 수는 없지만, 최선을 다해서 작성하고, 같이 상의하고 의논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보다 정말 많은 에너지를 쏟게 된다. 주제 회의부터, 아이템, 기능 등등 필요한 요소들을 정한다. 그리고 나서 Fig..

자바스크립트 12. 자료구조(Data Structure) - 그래프 (graph)

오늘은 자료구조 그래프에 대해서 기록해보자! 📕그래프(Graph) 개념 그래프는 마치 지하철 노선도와 비슷한 것같다. 하나의 정점(vertex 또는 노드)에서 다른 vertex들과 연결이 되어있다. 정점은 방향성이 없을 수도 있고, 한 방향을 가질 수도 있고, 양방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을 가르키는 정점가 존재하기도 한다. 그래서 정점들의 관계를 나타내고 표현이 가능한 자료 구조이다. 트리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지만, 그래프는 순환과 비순환으로 나뉜다. 📍그래프(Graph) 메소드 이번 코드스테이츠 스프린트에서 구현한 메소드는 총 6가지 이다. addNode(node) - 그래프에 노드를 추가합니다. addEdge(fromNode, toNode) - fromNode와 toNode사이의 간선을..

자바스크립트 12. 자료구조(Data Structure) - 트리(Tree)

자료구조 기록의 마지막! 트리에 대해서 기록해보자! 📕트리(Tree) 개념 트리는 위의 바오밥 나무를 뒤집은 구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구조가 나무와 닮아 있기 때문에 Tree라고 이름을 부텼다. 하나의 뿌리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나오는 모습을 하고 있다. 트리 구조는 노드(또는 Vertex라고도 한다.)가 부모 자식의 관계를 가지는 구조이다. 제일 상단에 있는 노드를 root라고 하고, 더이상 자식의 노드가 없는 노드는 나뭇잎과 같기 때문에 leaf라고 합니다. 그리고 같은 부모 노드에 붙어있는 자식노드를 묶어서 부를 때는 sibling node 형제 노드라고 합니다. 🌳트리의 종류 트리에는 종류들이 많이 있고, 또 형태에 따라서 나뉘기도 한다. 완전이진트리, 정 이진트리, 포화이진트리, 그리고..